본문 바로가기
  • 현직 강사의 생생한 입시정보

수학이야기23

수학기호의 역사 오늘은 수학을 공부할 때 사용하는 수학기호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 가지 설이 있는 기호는 최대한 다양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더하기(+) 덧셈 기호는 수학의 발전과 함께 변화해 왔습니다. 초기에는 덧셈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었고, 사람들은 단어나 문장으로 더하기를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편의성과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덧셈을 나타내는 다양한 기호들이 개발되었습니다. - 중세 유럽에서는 덧셈을 나타내기 위해 단어 "et"이나 "plus"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들 단어는 더하기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문장 중에 사용되었습니다.- 리본 다이어그램 : 16세기에는 리본 다이어그램이라고 불리는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더하기를.. 2024. 4. 17.
황금비 황금비라고 들어보셨나요? 인간이 인식하기에 가장 균형적이고 이상적으로 보이는 비율 '황금비' 오늘은 '황금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황금비란? 유클리드는 원론에서 당시에는 '와중비'라는 단어로 황금비를 설명하는데 그 내용은 어떤 선분을 두 부분으로 나눌 때 전체와 긴 부분의 비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의 비가 같다면 그 선분은 황금비로 나누어졌다고 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식으로 풀어보면      정오각형에서도 황금비의 존재를 알게 되었는데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물 및 미술 등 생활 속에 나타난 황금비파르테논 신전 말로의 비너스 조각상의 황금비율   석가탑에 나타난 황금비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황금.. 2024. 4. 13.
약수와 배수, 공약수, 공배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오늘은 초등 5학년 때 배우고 중학교 1학년 때 다시 배우는 약수와 배수, 공약수, 공배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를 그 수의 약수라고 합니다.   - 배수 어떤 수를 1배, 2배, 3배……한 수를 그 수의 배수라고 합니다.- 약수와 배수의 관계 곱셈식에서 곱하는 두 수는 계산 결과의 약수가 되고, 계산 결과는 각각 두 수의 배수가 됩니다.  3×6=183과 6은 18의 약수입니다. 18은 3과 6의 배수입니다.   - 배수 판정법◈ 2의 배수 : 일의 자리가 2의 배수◈ 3의 배수 : 각 자리 숫자의 합이 3의 배수◈ 4의 배수 : 뒤의 두 자리 수가 4의 배수◈  5의 배수 : 일의 자리가 0.. 2024. 4. 3.
원주율(π) 파이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주율(π) 파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주율원주율, 파이(π, pi)는 원의 지름에 대한 원주(원둘레)의 비율을 뜻합니다.  원 : 평면 위에 한 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 원주 : 원의 둘레  지름 : 양 끝점이 원위에 있고 원의 중심을 지나는 선분 원주 구하기 원주=지름×원주율 원의 넓이 원의 넓이 = 반지름 ×반지름 ×원주율 원주율의 역사 최초의 원주율은 이집트나 바빌로니아에서 구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기원전 1900년에서 기원전 1600년 사이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650년경 아메스가 쓴 아메스 파피루스에선 직접 바퀴를 굴려서 구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또한, 기원전 480년 송나라의 조충지가 원주율과 가장 .. 2024. 4. 2.
한붓그리기(쾨니히스베르크의 7개다리) 오늘은 퇴니히스베르크의 7개 다리로 유명한 한붓 그리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 그대로 붓을 한 번도 떼지 않고 도형을 그리는 한붓그리기 그럼 시작해 볼까요?  한붓그리기란? 붓을 한 번도 종이 위에서 떼지 않고 같은 곳을 두 번 지나지 않으면서 어떤 도형을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한붓 그리기는 약 250년 전에 쾨니히스베르크(현재의 칼리닌그라드)에 있는 프레게르강에 걸쳐 있는 일곱 개의 다리를 모두 한 번씩만 건너갈 수 있느냐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한붓그리기가 가능한 도형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는 불가능하다는 것은 L. 오일러는 수학자가 증명하였습니다.  L. 오일러는  '한 점으로부터 짝수 개의 선이 나와 있는 것을 우점(偶點), 홀수 개의 .. 2024. 3. 27.
숫자 '0' 이야기 오늘은 숫자 '0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수도 음수도 아닌 수직선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0' 그 의미와 역사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0의 역사수학의 역사에서 '0'은 무척 늦게 발명(?) 발견(?) 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은 세상에 '없는 것'이라는 개념은 없다고 생각하여 '0'의 존재를 부정하였습니다. 수를 표시하던 로마 숫자 체계에 '0'이 없는 것도 無라는 개념은 있지만 수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0'은 7-8세기 정도에 인도에서부터 쓰였다고 합니다.  고대 인도의 수학자였던 '브라굽타'의 저서 《우주의 창조》에는, “0은 같은 두 수를 뺄셈 하면 얻어지는 수”라고 0에 대한 정의가 내려져 있습니다. 또한 처음으로 인도에서 사용하였다는 이유는 사.. 2024. 3.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