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직 강사의 생생한 입시정보
수학이야기

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측정단위)

by 네모쌤0123 2024. 4. 20.
반응형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수를 이용하여 좀 더 쉽게 소통하고 정보를 전달합니다. 오늘은 측정단위인 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

미터법

미터법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측정 시스템 중 하나로, 길이, 질량, 부피, 온도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미터법은 미터(meter), 그램(gram), 리터(liter) 등의 단위를 사용하며, 이러한 단위들은 기준 단위에 접두사를 붙여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킬로미터(kilometer), 밀리그램(milligram), 센티미터(centimeter)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접두사는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측정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높여줍니다. 미터법은 과학, 산업, 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터법은 1790년경 신생 프랑스 공화국의 파리과학아카데미가 한 제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영국 계통의 임피리얼법(imperial system)과 대조해서 쓰입니다. MKS 단위계, CGS 단위계, 국제단위계 등은 최초의 미터법이 발전한 것으로 미터법에 속하는 것으로 보며, 종종 미터법은 국제단위계를 지칭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1875년 미터 조약을 계기로 국제적으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는 1960년대 초반부터 계량법에서 미터법을 채택하였으며, 현재는 거의 모든 나라가 미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처음 제안되었을 때, 1m는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거리의 천만분의 일로 정의되었고, 각 변의 길이가 (1/10) m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1 리터(liter, ℓ)로, 4 ºC의 물 1 ℓ의 질량을 1 kg으로 정하였습니다. 미터와 킬로그램의 정의는 그 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수정되었는데, 현재 1m는 빛이 진공 중에서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고, 1 kg은 국제킬로그램원기의 질량입니다. 큰 양이나 작은 양을 나타낼 때는 10의 배수에 해당하는 접두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영국의 임페리얼법에서 길이의 단위로 야드(yard, yd), 피트(foot, ft; 복수가 feet)와 인치(inch, in), 질량의 단위로 파운드(pound, lb)와 온스(ounce, oz) 등을 사용하며, 이들 사이의 변환이 1 yd = 3 ft, 1 ft = 12 in, 1 lb = 16 oz처럼 10의 배수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단위에 붙는 접두어

킬로 - 1000 헥토 - 100 데카 - 10 데시 - 0.1 센티 - 0.01 밀리 - 0.001

 

야드파운드법 

야드파운드법은 영국과 미국에서 과거에 사용되던 측정 시스템입니다. 영국에서 기원하며 중세 시대에 시작되었습니다. 야드는 영국에서 중세 시대에 사용되던 길이 단위로, 원래는 왕궁에서 왕이 걸어 다니는 거리로부터 유래했습니다. 이후 야드는 정해진 길이로 표준화되었고, 다양한 재료의 막대를 이용하여 이를 측정했습니다.

파운드는 질량의 단위로서, 영국에서도 중세 시대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식료품이나 상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후 정교한 체중 측정 장비가 등장하면서 표준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야드파운드법은 영국 제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다른 국가들에도 퍼져나갔습니다. 특히 영국 식민지였던 미국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미국 독립 이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측정 시스템의 표준화를 위해 미터법이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야드파운드법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미터법을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야드파운드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 영국과 미국의 전통적인 분야나 문화적인 맥락에서 아직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야드(yard) :  길이를 측정하는 단위로, 인치 36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거의 0.9144 미터에 해당합니다.

파운드(pound) : 질량을 측정하는 단위로, 오늘날의 파운드와는 약간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45359237 킬로그램에 가까웠습니다.

 



오늘은 측정단위인 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수학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결코 떨어져서 생각할수 없습니다. 수학의 많은 이야기를 더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앞으로 더 알찬 내용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728x90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코드(barcode)  (2) 2024.04.23
온도의 단위(섭씨, 화씨, 켈빈)  (2) 2024.04.21
분수 소수 이야기  (4) 2024.04.19
수학기호의 역사  (0) 2024.04.17
황금비  (0) 2024.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