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초등 5학년 때 배우고 중학교 1학년 때 다시 배우는 약수와 배수, 공약수, 공배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를 그 수의 약수라고 합니다.
- 배수
어떤 수를 1배, 2배, 3배……한 수를 그 수의 배수라고 합니다.
- 약수와 배수의 관계
곱셈식에서 곱하는 두 수는 계산 결과의 약수가 되고, 계산 결과는 각각 두 수의 배수가 됩니다.
3×6=18
3과 6은 18의 약수입니다.
18은 3과 6의 배수입니다.
- 배수 판정법
◈ 2의 배수 : 일의 자리가 2의 배수
◈ 3의 배수 : 각 자리 숫자의 합이 3의 배수
◈ 4의 배수 : 뒤의 두 자리 수가 4의 배수
◈ 5의 배수 : 일의 자리가 0 또는 5
◈ 9의 배수 : 각 자리 숫자의 합이 9의 배수
- 공약수와 최대 공약수
두 수의 공통인 약수를 두 수의 공약수라고 합니다.
두 수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두 수의 최대공약수라고 합니다.
12의 약수 : 1, 2, 3, 4, 6, 12
18의 약수 : 1, 2, 3, 6, 9, 18
12과 18의 공약수 : 1, 2, 3, 6
12과 18의 최대공약수 : 6

소인수 분해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
두 수 12와 18을 소인수분해하면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12=2×2×3
18=2×3×3
이때 두 수의 공통인 소인수 2와 3을 곱한 수 2 ×3 , 즉 6은 12와 18의 최대공약수이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최대공약수는 주어진 수들을 각각 소인수분해 하여 각 수의 공통인 소인수를 모두 곱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두 수의 공통인 배수를 두 수의 공배수라고 합니다.
두 수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두 수의 최소공배수라고 합니다.
5의 배수 :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의 배수 : 7, 14, 21, 28, 35, 42, 49, 56, 63, 70
공배수 : 35, 70
최소공배수 : 35
소인수 분해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
두 수 30과 42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0= 2×3×5
42=2×3×7
이때 두 수에 공통인 소인수 2, 3뿐만 아니라 공통이 아닌 소인수 5, 7을 모두 곱한 수 2×3×5×7, 210은 30과 42의 최소공배수입니다.
이와 같이 두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는 주어진 수들을 각각 소인수분해하여 두 수의 공통인 소인수와 공통이 아닌 소인수를 모두 곱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두 수와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관계
A=Ga B=Gb (G: 최대공약수 L:최소공배수 a, b는 서로소) 서로소는 최대공약수가 1인 두 자연수
L=Gab
A×B=L×G
Ga×Gb=Gab×G=LG
참고자료 : 교학사 교과서
오늘은 초등 5학년 때 배우고 중학교 1학년 때 다시 배우는 약수와 배수, 공약수, 공배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기호의 역사 (0) | 2024.04.17 |
---|---|
황금비 (0) | 2024.04.13 |
원주율(π) 파이 이야기 (0) | 2024.04.02 |
한붓그리기(쾨니히스베르크의 7개다리) (0) | 2024.03.27 |
숫자 '0' 이야기 (0) | 2024.03.25 |